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반인 해루질 금지 추진, 해루질 가능 지역

by 아만다씨 2024. 10. 29.
반응형

 

 

해루질 금지 추진 배경

 

해양수산부는 해양 생태계와 어민 생계를 보호하기 위해 전국 해양보호구역에서 일반인이 맨손으로 조개 등을 채취하는 '해루질'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전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지역민들과 협의를 거쳐 보호구역 내 낚시를 금지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국내 해양보호구역 현황

 

국내 해양보호구역은 습지보호구역(18개), 해양생태계보호구역(16개), 해양생물보호구역(2개), 해양경관보호구역(1개) 등 총 37개, 면적은 1976㎢이다. 해수부는 매년 1~2개의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2021년 4월 일반인의 야간 해루질을 금지하는 고시를 시행햇고, 강원도는 2024년 7월 전국 최초로 일반인의 수산자원 포획·채취 행위를 금지하는 조례를 공포·시행하는 등 일반인의 해루질을 제한하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의 검토내용

 

해양수산부는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일부 해루질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해안가 환경오염, 어민들과의 충돌로 인한 각종 민원 발생 등 외지인들의 과도한 해루질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지자체와 지역 어민들의 일반인 해루질 금지 요구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2025년 관련 고시를 통해 보호구역 내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전했습니다.